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헬스장 소득공제, 똑똑하게 환급받는 2025년 연말정산 가이드

by ⅧㄺΘ╃ㆎⁿ 2025. 7. 2.
반응형

헬스장 소득공제는 2025년 7월 1일부터 전국적으로 시행되는 새로운 제도입니다. 이 제도를 통해 헬스장과 수영장 등 체육시설 이용료의 일부를 연말정산 시 소득공제로 돌려받을 수 있게 되어, 건강 관리와 절세를 동시에 실현할 수 있습니다

 

헬스장 소득공제, 똑똑하게 환급받는 2025년 연말정산 가이드

 

헬스장 소득공제, 2025년부터 어떻게 달라졌나?

2025년 7월 1일부터 헬스장 소득공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. 기존에는 도서, 공연, 박물관 등 문화예술 분야에만 적용되던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이 헬스장과 수영장까지 확대된 것입니다. . 이번 정책 변화로 전국 1,000여 개 이상의 헬스장과 수영장 시설 이용료가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며, 국민의 건강 증진과 체육산업 활성화가 주요 목적입니다.

  • 적용 시기: 2025년 7월 1일 이후 결제한 금액부터 소득공제 가능
  • 적용 시설: 체육시설법상 신고된 헬스장, 수영장, 종합체육시설(공공·민간 모두)

 



누가, 얼마나 받을 수 있나? (자격·한도)

헬스장 소득공제는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

대상자 조건:

  • 연간 총급여 7,000만 원 이하의 근로소득자
  • 해당 체육시설에서 신용카드, 체크카드, 현금영수증 등으로 결제한 내역이 있어야 함
  • 자영업자, 프리랜서 등 근로소득 외 소득자는 제외

 

공제율 및 한도:

  • 시설 이용료의 30%를 연간 최대 300만 원 한도 내에서 소득공제
  • 예시: 1년간 헬스장에 120만 원을 지출했다면, 30%인 36만 원이 소득공제 대상
  • 연간 300만 원을 초과해도 최대 300만 원까지만 인정

 



소득공제 받으려면 꼭 체크! (이용 방법)

공제 가능한 헬스장·수영장 찾기:

  • 반드시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‘체육시설법’ 적용 시설이어야 하며,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등록 여부 확인 가능

소득공제 누리집 바로가기

 

문화비소득공제 > 소득공제 사업자 > 접수/등록안내

대한민국 근로소득자라면, 누구나 누리고, 연말정산 돌려받자! 문화비 소득공제

www.culture.go.kr:443

 

결제 방법 및 증빙:

  • 신용카드, 체크카드, 현금영수증 결제만 인정
  • 현금 결제 시 반드시 현금영수증을 발급받아야 함

 

사업자 등록 여부 확인:

  • 사업자가 문화비 소득공제 사업자로 등록되어 있어야 하며, 미등록 시설 이용 시 소득공제 불가

 



어떤 비용이 공제되고, 제외될까?

전액 공제 항목:

  • 일일권, 월 정기권 등 시설 기본 이용료
  • 수건, 운동복 등 대여료

 

50%만 공제되는 항목:

  • 헬스 PT, 수영 강습 등 강습비(시설 이용료와 구분되지 않을 경우)
  • 크로스핏, GX, 필라테스 등 프로그램 참가비

 

공제 제외 항목:

  • 운동용품, 음료, 락커 대여료(별도 결제 시), 주차비 등

 



자주 묻는 질문 & 실전 팁

연말정산 적용 방법:

  • 연말정산 시 신용카드·현금영수증 사용 내역이 자동 반영

 

헬스장 소득공제 실제 후기/경험담:

  • 월 15만 원씩 1년간 이용 시, 54만 원 소득공제(세율 15% 적용 시 약 8만 1천 원 절세)

 

헬스장 사업자를 위한 등록 안내:

  • 문화비 소득공제 누리집에서 사업자 등록 가능, 소비자 검색 증가와 마케팅 효과 기대

 



마무리

헬스장 소득공제 제도는 건강과 절세, 두 가지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2025년 하반기 최대의 생활밀착형 정책 중 하나입니다. 본인이 이용하는 시설이 소득공제 대상인지 미리 확인하고, 결제 내역을 꼼꼼히 챙기면 실질적인 세금 절감 효과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반응형